신명기

1079 [헌금] 구별된 헌금은 어떻게 드려야 하나요? (신26:13-14 구별된 헌금, 본문자) [배목새벽설교]

달려라33 2025. 3. 8. 19:52
반응형

2021년 3월 27일 토요일/ 새벽기도 1079일째 설교 신명기 352번째 설교

신26:13-14 :13 그리 할 때에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고하기를 내가 성물을 내 집에서 내어 레위인과 객과 고아와 과부에게 주기를 주께서 내게 명하신 명령대로 하였사오니 내가 주의 명령을 범치도 아니하였고 잊지도 아니하였나이다 14 내가 애곡하는 날에 이 성물을 먹지 아니하였고 부정한 몸으로 이를 떼어 두지 아니하였고 죽은 자를 위하여 이를 쓰지 아니하였고 내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청종하여 주께서 내게 명령하신 대로 다 행하였사오니

https://www.youtube.com/watch?v=ziie0_QK3rU

 

1.거룩한 예물 - 14내가 애곡하는 날에 이 성물을 먹지 아니하였고 부정한 몸으로 이를 떼어 두지 아니하였고 죽은 자를 위하여 이를 쓰지 아니하였고 내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청종하여 주껴서 내게 명령하신 대로 다 행하였사오니, 2 십일조를 거룩하게 드리며 다른 용도로 쓰지 않았음을 고백한다. 부정한 몸으로 이를 떼어 두자 아니하였다는 것은 십일조를 드릴 때 정결한 마음과 자세로 드렸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과정이 불손한 헌물을 받지 않으신다. 1:12-13그러나 너희는 말하기를 여호와의 상은 더러웠고 그 위에 있는 실과 곧 식물은 경멸히 여길 것이라 하여 내 이름을 더럽히는도다/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가 또 말하기를 이 일이 얼마나 번폐스러운고 하며 코웃음하고 토색한 물건과 저는 것, 병든 것을 가져왔느니라 너희가 이같이 헌물을 가져오니 내가 그것을 너희 손에서 받겠느냐 여호와의 말이니라

23:18창기의 번 돈과 개 같은 자의 소득은 아무 서원하는 일로든지 네 하나님 여호와의 전에 가져오지 말라 이 둘은 다 네 하나님 여호와께 가증한 것임이니라

애곡하는 날에 이 성물을 먹지 아니하였다는 것과 죽은 자를 위하여 이를 스지 아니하였다는 것은 하나님께 드려야 할 십일조를 장례를 위한 경비 등의 사적인 용도로 유용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십일조는 정결하게 드리며 사적으로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 개인사정이 아무리 절박해도 하나님께 구별해서 드리는 십일조를 유용해서는 안된다. 그러기 위해서 십일조는 일이 발생되기 전에 먼저 드려야 한다.

사람은 병원비나 자녀 등록금이 부족하거나 생계비가 부족한 어려움이 닥치면 그 불부터 끄려고 한다.

본문에서는 갑자기 당한 장례로 인해 돈이 필요할 때에도 십일조를 유용해서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

신앙에는 굳은 심지가 있어야 한다. 26:3“주께서 심지가 견고한 자를 평강에 평강으로 지키시리니 이는 그가 주를 의뢰함이니이다

급할 때 십일조를 쓰다보면 십일조를 안 드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끝내는 십일조 생활에서 탈락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십일조를 강조하다보면 너무 율법적인 생활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가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는데 분명한 것은 십일조는 다른 헌금과는 구별된 헌금 이상의 신앙 양심이다.

국가 세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탈세범이 되는데 심지어 하나님의 것인 십일조를 드리지 않는 것은 하나님의 것을 도둑질 하는 것이 된다. 3:8-9사람이 어찌 하나님의 것을 도적질하겠느냐 그러나 너희는 나의 것을 도적질하고도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주의 것을 도적질하였나이까 하도다 이는 곧 십일조와 헌물이라 너희 곧 온 나라가 나의 것을 도적질하였으므로 너희가 저주를 받았느니라

십일조 생활에 승리할 때에 하나님이 부어주시는 복을 경험하게 된다. 3:10-11“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의 온전한 십일조를 창고에 들여 나의 집에 양식이 있게 하고 그것으로 나를 시험하여 내가 하늘 문을 열고 너희에게 복을 쌓은 곳이 없도록 붓지 아니하나 보라/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황충을 금하여 너희 토지 소산을 멸하지 않게 하며 너희 밭에 포도나무의 과실로 기한 전에 떨어지지 않게 하리니/ 너희 땅이 아름다워지므로 열방이 너희를 복되다 하리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반응형